본문 바로가기

교수진

교수진소개

교수진소개

제주대학교 지리교육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글자크게 글자작게 프린트

권상철 교수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학사
펜실베니아주립대학교 지리학과 석사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지리학과 박사

주요경력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시간강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책임연구원
제주대학교 교수
오레건주립대학교 객원교수, 시간강사
텍사스주립대학교, 달라스, 객원교수, 시간강사

주요논문

제주도 발전 전략의 교호적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신문기사를 활용한 입지론 수업: 벤처기업의 입지 사례 경제지리학회지
환경문제에 대한 지역관점의 접근: 환경교육에의 일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https://scholar.google.co.kr/citations?hl=en&user=y0HS9xkAAAAJ&view_op=list_works&sortby=pubdate

+-

오상학 교수

  • 세부전공

    역사지리 지리사상사 제주지리

  • 연구실사범1호관 1317
  • 전화/국제전화064-754-3236/82-64-754-3236
  • 이메일ohsanghak@jejunu.ac.kr
  • 홈페이지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1992. 2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졸업
1994. 8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석사 졸업
2001. 8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박사 졸업

주요경력

o 1997. 9 ~ 2001.12 서울대학교 규장각 특별연구원
o 2002. 3 ~ 2004. 8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
o 2006. 4 ~ 2010. 4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전문위원
o 2014. 9 ~ 2016. 9 제주도 문화재위원회 위원
o 2017. 2 ∼ 2018. 2 영국 캠브리지 대학 방문교수
o 2016. 1 ∼ 2018. 12 (사)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부회장
o 2018. 3 ∼ 2022. 2 제주대학교 박물관장
o 2020. 1 ~ 2023. 12 한국고지도연구학회 회장
o 2023. 1 ∼ 2024. 12 (사)제주학회 회장
o 2019. 1 ~ 현재  외교부 독도정책자문위원회 위원
o 2004. 9 ~ 현재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교수

주요논문

조선시대 한라산의 인식과 그 표현(2006, 지리학연구 40-1)
조선시대 지도에 표현된 울릉도 독도 인식의 변화(2006, 문화역사지리 18-1)
다산 정약용의 지리사상(2007, 다산학 10)
조선시대 원형 천하도의 특징과 세계관(2008, 코리아저널 48-1)
조선시대 지식인의 풍수 인식(2010,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13-1)



"옛 삶터의 모습, 고지도"(2005, 통천문화사)
"조선시대 세계지도와 세계인식"(2011, 창비)
"천하도(조선의 코스모그래피)"(2015. 문학동네)
"한국 전통 지리학사"(2015. 들녘)

+-

최광용 교수

  • 세부전공

    기후학 환경지리학 GIS/Remote Sensing

  • 연구실사범대학1호관 1316
  • 전화/국제전화064-754-3237/+82-64-754-3237
  • 이메일tribute@hanmail.net/tribute@jejunu.ac.kr
  • 홈페이지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1999. 8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학사
2002. 2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석사
2007. 10 미국 럿거스 뉴저지 주립대학교 지리학과 박사

주요경력

2000. 9 ~ 2001. 8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조교
2002. 4 ~ 2002. 7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연구원
2003. 7 ~ 2007. 7 미국 럿거스 뉴저지 주립대 시간강사/수업조교
2007.11 ~ 2009. 6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선임연구원
2008. 3 ~ 2011. 2 서울대, 이화여대, 서원대 시간강사
2009. 7 ~ 2011. 2 강원대학교 BK사업단(자연대 환경과학과) 계약(연구)교수
2011. 3 ~ 2015. 3 제주대학교 지리교육전공 조교수
2015. 4 ~ 2020. 3 제주대학교 지리교육전공 부교수
2018. 2 ~ 2019. 2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Lamont Doherty Earth Observatory 방문 연구 과학자
2020. 4 ~ 현재 제주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

주요논문

Du, H*. and others (Choi, G.), 2022, Extreme precipitation on consecutive days occurs more often in a warming climate,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103(4), E1134-E1149.
Lee, S. and others (Choi, G.*), 2020, Spatio-temporal patterns of the minimum rest time for outdoor workers exposed to summer heat stress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 64(10), 1755-1765.
Choi, G*. and Lee DE, 2020, Changing human-sensible temperature in Korea under a warmer monsoon climate over the last 100 years,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 64(5), 729-738.Du, H*. and others (Choi, G.), 2019, Precipitation from persistent extremes is increasing in most regions and globally,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10.1029/2019GL081898.* Correspondence.

+-

송원섭 부교수

  • 세부전공지리교육 지역지리 문화지리 지리철학
  • 연구실사범1호관 1319
  • 전화/국제전화064-754-3233/
  • 이메일wssong@jejunu.ac.kr
  • 홈페이지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 학사
영국 브리스톨대학교(University of Bristol) 지리학과 인문지리학 석사
영국 퀸즈대학교(Queen’s University at Belfast) 지리학과 인문지리학 박사
주요경력 영국 퀸즈대학교(Queen’s University at Belfast) 시간강사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조교수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부교수
주요논문 경관지리학에서 경치지리학(景致地理學)으로:영미권 문화역사지리학 경관연구 패러다임의 전환(2015, 대한지리학회지)

경관의 재현성과 비재현성의 의미론적 조우(遭遇): 제주도 안거리-밖거리 전통주거문화경관 사례를 중심으로 (2019, 대한지리학회지)

문화지리교육에서 환경결정론 교육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2023, 대한지리학회지)

Cities Culture and Climate Change Learning from the Republic of Korea Experience (2023, World Bank)

Jeju Haenyeo Fisheries System GIAHS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 Proposal (2023, UN FAO)

+-

김동은 조교수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고려대학교 지리교육과 학사
고려대학교 지리학과 석사
고려대학교 지리학과 박사
주요경력 미국 Tulane 대학교 박사후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활성지구조연구센터 선임연구원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조교수
주요논문 SCIE 상위 1% 이내
DE Kim, J Weber, YB Seong, K Reminga-DeYoung, BY Yu, (2023), Late Quaternary–Recent intraplate topographic uplift of the St. Francois Mountains (Ozark Plateau), Missouri (USA), driven by differential density and erosion, Geology 51 (4), 356-361
Y Zheng, H Li, J Pan, YB Seong, DE Kim, M S. Arniz-Rodríguez, M Bai, S Han, D Liu, C Ge, H Lu, N Zhong, (2024), Incomplete mechanical decoupling and accelerated extension in the westernmost segment of central Tibet, Geology, Early Publication

SCIE
CH Lee, YB Seong, J Weber, S Ha, DE Kim, BY Yu, (2024). Topographic metrics for unveiling fault segmentation and tectono-geomorphic evolution with insights into the impact of inherited topography, Ulsan Fault Zone, South Korea. Earth Surface Dynamics, 12(5), 1091-1120.
CM Kim, TH Lee, JH Choi, H Lee, DE Kim*, (2024), Multi-scale analysis and paleoseismic investigations along the Geumwang Fault: an example of integrated approach in paleoseismology in slow tectonic region, Geosciences Journal 28 (5), 565-582 (*corresponding author)
DE Kim, CM Kim, HW Choi, H Lee, (2024), New evidence of late Quaternary earthquake surface rupturing along the Gongju Fault, central Korea, Geosciences Journal, 1-11
T Kim, H Lee, DE Kim, JH Choi, Y Choi, M Han, YS Kim, (2024), Determination of the long-term slip rate of a fault in a slowly deforming region based on a reconstruction of the landform and provenance, Geomorphology, 109286
H Lee, JH Choi, TH Lee, DE Kim, Y Cheon, KS Lee, Y Choi, (2023), Detection of fault location and paleoseismic evidence in the cultural heritage site around Gyeongju, SE Korea, Episodes Journal of International Geoscience 46 (4), 521-535
Y Cheon, YH Shin, S Park, JH Choi, DE Kim, K Ko, CR Ryoo, YS Kim, ..., (2023), Structural architecture and late Cenozoic tectonic evolution of the Ulsan Fault Zone, SE Korea: New insights from integration of geological and geophysical data, Frontiers in Earth Science 11, 1183329
DE Kim, YB Seong, J Weber, BY Yu, (2022), Frost-weathering control on the rate of late Quaternary landscape evolution, western flank of the Taebaek Mountain Range, Korea: a case of passive margin landscape evolution, Geografiska Annaler: Series A, Physical Geography, 1-23
CH Lee, YB Seong, LM Schoenbohm, DE Kim, BY Yu, (2021), Geomorphic constraints on the development of a blind-thrust induced landform, south-central Mongolia: Insights into foreberg growth, Geomorphology 378, 107613
DE Kim, YB Seong, J Weber, BY Yu, (2020), Unsteady migration of Taebaek Mountain drainage divide, Cenozoic extensional basin margin, Korean Peninsula, Geomorphology 352, 107012
DE Kim, YB Seong, KH Choi, BY Yu, (2017), Role of debris flow on the change of 10Be concentration in rapidly eroding watersheds: a case study on the Seti River, central Nepal, Journal of Mountain Science 14, 716-730
DE Kim, YB Seong, J Byun, J Weber, K Min, (2016), Geomorphic disequilibrium in the Eastern Korean Peninsula: Possible evidence for reactivation of a rift-flank margin, Geomorphology 254, 130-145

KCI
신재열, 홍성찬, 김동은, 류희경, 홍영민. (2023). 고성-속초 일대 제 4 기 후기 해안단구 지층서. 대한지리학회지, 58(6), 657-671.
김태형, 최진혁, 이호일, 배한경, 최이레, 이태호, 천영범, 김창민, 김동은, 류충렬. (2022). First detection of stratigraphic records of paleoearthquakes in Chungbuk Region, Korea. 지질학회지 58(4), 411-425.
김동은. (2022). 융기율 차이에 따른 하천 종단곡선변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파이썬 기반 2 차원 수치지형발달모형을 이용하여. 대한지리학회지, 57(2), 209-223.
김동은. (2022). 침식저항도 차이에 따른 지형발달 및 지형인자에 대한 연구. 자원환경지질, 55(5), 541-550.
김동은, 성영배. (2021). 지형지시자와 연대측정을 이용한 양산단층 남부지역 누적변위율. 대한지리학회지, 56(2), 201-213.
김태형, 김동은, 김석진, 성영배, 임현수, 신현조, 김영석. (2021). 울산단층 중부 원원사단층의 운동특성과 시기. 지질학회지 제, 57(1), 35-48.
김동은, 성영배, 김종근. (2019).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하안단구 10Be 수직단면 연대측정. 한국지형학회지, 26(4), 21-31.
김동은, 오정식. (2019). 지형패턴 분류방법 (geomorphons) 을 이용한 지형분류-중부 양산단층을 대상으로. 대한지리학회지, 54(5), 493-505.
오정식, 김동은. (2019). LiDAR, 수치지형도, 항공사진 기반 수치표고모델을 활용한 중부 양산단층의 선형구조 추출과 비교. 대한지리학회지, 54(5), 507-525.
이초희, 성영배, 오정식, 김동은. (2019). 양산단층대 북부 유계-보경사지역의 조구조지형학적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제, 26(1).
김동은, 변종민, 성영배. (2014). 1 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기반암 하상 연구: 이론적 고찰. 한국지리학회지, 3(2), 127-137.
김동은, 성영배, 손학기, 최광희. (2012). 지형패턴 (Geomorphons) 을 이용한 새로운 지형분류방법. 한국지형학회지, 19(4), 139-155.

+-

손명철 명예교수

  • 세부전공

    지리교육 다문화교육 지역지리

  • 연구실-
  • 전화/국제전화-/
  • 이메일sonmy@jejunu.ac.kr
  • 홈페이지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1980. 2 관동대학 지리교육과 학사
1986. 8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과 지리전공 석사
1995. 2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과 지리전공 박사

주요경력

1986 ~ 1990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조교
1986 ~ 1994 고려대, 관동대, 서울대, 충남대, 충북대 시간강사
2003 ~ 2004 미국 University of Tennessee 지리학과 방문교수
1995 ~ 2023.8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교수
2023.9 ~ 현재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명예교수

주요논문

<주요 논문>



- 지속가능한 제주의 미래를 위한 장소기반교육 -생태환경교육과 지역지식을 중심으로- 2021, 제주도연구, 56, 115-135.
- 고등학교 한국지리 과목 지역지리 단원에 대한 비판적 검토 -2015 개정 교육과정과 3종 교과서 내용을 중심으로-, 2020,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8(3), 15-26.
- 제주학 연구에서 지리 분야의 연구 성과와 과제 -해방 이후를 중심으로-, 2018, 국토지리학회지, 52(3), 357-372.
- 한국 지역지리학의 개념 정립과 발전 방향 모색, 2017,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3(4), 653-664.
- 지역지리 연구의 주요 원리와 제주 지역 연구에 주는 함의, 2017, 문화역사지리, 29(3), 78-91.
- 세계지리 수업에서 여행기를 활용한 정의적 영역의 보완, 2016,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3), 730-744.
- 중학교 사회교과서의 학습활동 분석과 재구성 -현행 중학교 「사회①」교과서 지리영역을 중심으로-, 2014,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2(3), 61-70.
- 학습자 주도적인 탐구형 세계지리 교과서 모형 탐색 -영국의 고등학교 를 사례로-, 201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1(3), 117-128.
- 라우텐자흐의 한국 지역 구분 원리와 그것이 지리교육에 주는 시사점 -그의 저서 『KOREA』(1945)를 중심으로-, 2009, 국토지리학회지, 43(4), 735-743.
- 영국의 중학교(Key Stage 3) 지리교과서 체제와 내용 분석 - A Sense of Place(Oxford University Press) series를 사례로-, 2004, 지리교육논집, 48, 182-194.
- 근대 사회이론의 접합을 통한 지역지리학의 새로운 방법론, 2002, 한국지역지리학회지, 8(2), 150-160.
-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통합 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하나의 대안, 1999, 지리환경교육, 7(1), 51-65.
- 산업화의 진전에 따른 지역변화에 관한 연구 -경기도 이천 지방노동시장의 공간성을 중심으로-, 1995,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주요 저서 및 번역서>



- 제주교육론 -미래 교육을 상상하다-, 2022, 한국학술정보.(공저)
- 제주 지리 환경과 주민 생활, 2020, 한그루.(공저)
- 새로운 지역지리학과 지리교육, 2019, 푸른길.(공저)
- 현대 지리교육학의 이해, 2018, 푸른길.(공저)
- 코레아: 일제 강점기의 한국지리, 2014, 푸른길.(공역)
- 문명과 기후, 2013, 민속원.(공역)
- 지역사회와 다문화교육, 2011, 학지사.(공저)
- 제주 지리론, 2010, 한국학술정보(주).(공저)
- 지리학강의, 2000, 한울아카데미.(공저)
- 지리학의 본질 I·II, 1998, 민음사.(공역)
- 지역지리와 현대 사회이론, 1994, 명보문화사.(편역)

+-

김태호 명예교수

  • 세부전공

    지형학 자연지리학

  • 연구실
  • 전화/국제전화 /
  • 이메일kimtaeho@jejunu.ac.kr
  • 홈페이지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1986년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졸업, 이학사
1996년 동경도립대학 대학원 지리학과 졸업, 이학박사

주요경력

1998. 3 ~ 2004. 2 제주대학교 조교수
2004. 3 ~ 2009. 2 제주대학교 부교수
2009. 3 ~ 2025. 2 제주대학교 교수
2025. 3 ~ 제주대학교 명예교수

주요논문

한라산 아고산 초지대의 유상구조토와 초지박리
한라산 성판악 등산로 노폭의 확대속도와 요인
한라산 아고산대 초지대 나지의 확대속도와 침식작용

+-